2017
Walnut, Stainless steel, Kvadrat curtain
1600*600*1510
Unhide
부끄러움은 붉고 투명하다.
'붉은 투명함'은 감추고 싶지만 더욱 강조되어 드러난다.

부끄러움은 타인을 인식하는 것이며 타인의 영향을 받는다.
날개 형태의 가림막 뒤로 2명의 사람이 앉게 되고 
이 둘의 주고받음은 가림막을 통해 가시화 된다.
한 사람이 숨으면 다른 사람이 드러날 수 밖에 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을 표현하고자 했다.

Shame is red and transparent.
The more you try to conceal red transparency, the more emphasized it becomes.

Shame is recognition of others and is influenced by others.
Behind the three-winged screen, two people sit and cross the scree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is visible through overlapping screens.
Through the interaction that one person hides and the other person is forced to reveal, I tried to express the feeling of 'shame' that only human can feel these feeling.
Motive : 부끄러움 Shame
내 감정이 그대로 드러나는 것, 감정이 투명해지는 것
To reveal my feelings as they are; to make them transparent.

부끄러움에 대한 고찰 
1.감정적인 자극이고 인간만의 특성이다.
2.타인의 존재를 인정하는 일이다.
3.동시에 나의 존재를 인정하는 일이다.
4.Key words- 가리기, 붉어짐, 투명함

An consideration of shame
1.Shame is an emotional stimulus and a characteristic of only human beings.
2.Shame is a matter of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others.
3.At the same time, If I feel ashamed, I admit my existence.
4.Key words- Covering, Redness, Transparency
Design Process
세개의 가림막은 벤치 앞부분에 연결되어 두명의 사용자가 앉았을 때 
서로 자신의 가림막을 주고받으며 가리고, 드러내는 상호작용을 통해 '부끄러움'의 경험을 제공한다.

The three screens ar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bench to provide an experience of ‘shame’ through the interaction that hides and reveals with each other when two users sit down.
Unhide
Published:

Unhide

Published: